청년 농촌일자리 장려금 자격조건

영농 창업이나 농촌 일자리를 찾는 청년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지원 자격과 상세 조건을 한눈에 안내합니다.



청년 농촌일자리 장려금이란?

청년 농촌일자리 장려금은 만 18~40세(일자리도약장려금은 만 34세 이하) 청년이 농촌에서 창업하거나 정규직에 취업할 때, 초기 소득 안정 및 정착을 위해 국비로 지원되는 대표 청년정책입니다.


신청하러 가기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
2025년 주요 자격조건


구분 영농정착지원금 일자리도약장려금
연령 만 18~40세 미만 만 15~34세 이하(군필자 복무기간만큼 연동)
주요 경력 독립경영 3년 이하(예비농, 창업자 포함) 신규 정규직 채용(취업애로청년 우대)
소득/보험 건강보험료 중위소득 140% 이하 취업 중 아님, 타 사업 중복지원 불가
병역 병역필 또는 면제(남성) 군필자 복무기간 상한 연동
거주지 요건 사업장과 동일 시‧군 거주(주민등록) 해당 없음
제외대상 고교·대학(휴)학생, 공공기관 재직자, 상근 근로자, 사업자 등 대학 재학생, 정부 유사사업 중복, 고용보험 장기가입자 등

자격 상세 안내

  • 연령 기준: 영농정착지원금은 만 18~40세 미만, 일자리도약장려금은 만 15~34세 이하(군필자 연동)
  • 경영 경력: 창업 또는 독립영농 3년 이하(예비농업인 가능)
  • 취업상태: 정규직 신규 취업 시, 취업애로자 우대
  • 건강보험료 기준: 본인 또는 가구 중위소득 140% 이하(2024년도 12월 기준금액 우선 참고)
  • 거주지: 영농정착지원금은 실제 거주지와 사업장이 같아야 함(주민등록상 주소 일치 필수)
  • 병역: 남성은 병역필 또는 면제 상태여야 지원 가능
  • 지원 제외: 고교·대학(휴)학생, 사업자·법인 대표, 정부 동일·유사사업 중복지원자, 고용보험 장기 가입자, 공공기관 상근근로자, 재산·소득 기준 초과 등


2025년 완화된 핵심 변경점

  • 농외 단기근로 월 100시간 미만 허용(기존 60시간→완화)
  • 농외소득 기준 폐지, 예비 청년농 및 귀농 장기교육 대상자 확대 적용

정부지원금 확인하기
위 버튼 누르시면 정부지원금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대학생이나 휴학생도 가능할까요?
A. 아니요. 졸업생 또는 사회진출자만 지원 가능합니다.
Q. 도시 청년도 지원대상이 될 수 있나요?
A. 영농 창업‧취업 의지만 있으면, 거주지 이전 후 지원 자격이 주어집니다.
Q. 동일한 정부지원사업 중복 신청 가능?
A. 불가. 내일채움공제, 청년내일채움공제, 타 장려금과 중복수혜 불가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