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로장려금 홑벌이가구 신청방법
2025년에도 근로장려금 혜택을 받기 원하는 홑벌이가구라면, 자격·지급액·신청방법 등 주요 내용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. 소득 기준, 가구 판정, 실질 지급액, 자주 묻는 질문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.
홑벌이가구란?
홑벌이가구는 신청자에게 부양가족(배우자,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)이 있으나,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00만원 미만이거나,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인 경우 해당합니다.
- 신청자가 배우자가 없는 경우: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존재해야 함
- 배우자가 있는 경우: 배우자 총급여액이 300만원 미만(연소득 기준)
2025년 홑벌이가구 소득 및 재산 요건
- 총소득 요건: 부부합산 연 소득 3,200만원 미만
- 재산 요건: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 2억 4천만원 미만 (2024년 6월 1일 기준)
신청하러 가기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최대 지급액 및 지급 방식
- 최대 지급액: 285만원
- 지급 방식: 소득구간별 차등 지급 (점증 구간·평탄 구간·점감 구간)
가구유형 | 소득기준 | 최대지급액 |
---|---|---|
단독가구 | 2,200만원 미만 | 165만원 |
홑벌이가구 | 3,200만원 미만 | 285만원 |
맞벌이가구 | 4,400만원 미만 | 330만원 |
자녀장려금 추가 지원
- 홑벌이·맞벌이가구 모두 총소득 7,000만원 미만, 18세 미만 자녀가 있으면 자녀 1인당 50만~100만원 지급
신청 기간 및 절차
- 정기신청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기한후신청: 2025년 6월 1일 ~ 11월 30일(지급액 10% 감액)
- 홈택스(PC·모바일), ARS(1544-9944), 세무서 방문 등 다양한 채널 지원
신청 전 체크리스트
- 배우자·부양자녀·직계존속의 소득/연령 꼼꼼히 확인
- 정기신청 기간 내 접수 시 100% 지급, 기간 경과시 감액
- 가구원 전체 재산 기준 필수 확인(부채 차감 불가)
- 안내문 수령 여부 관계없이 직접 신청 가능
정부지원금 확인하기
위 버튼 누르시면 정부지원금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자주 묻는 질문(FAQ)
- Q. 홑벌이가구와 맞벌이가구는 어떻게 구분하나요?
- A. 배우자가 있더라도 배우자의 연간 총급여가 300만원 미만이면 홑벌이가구, 300만원 이상이면 맞벌이가구로 구분합니다.
- Q. 부양자녀가 없으면 홑벌이가구 신청이 불가능한가요?
- A. 부양자녀나 70세 이상 직계존속 중 한 명이라도 있다면 홑벌이가구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Q. 재산 기준은 어떻게 산정하나요?
- A. 부동산, 전세보증금, 금융자산, 자동차 등 가구원 전체 소유 자산의 합계로 산정되며,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.
홑벌이가구라면 꼭 혜택 챙기세요!
근로장려금은 저소득 근로자와 가족의 삶을 지원하는 든든한 제도입니다. 홑벌이가구는 소득·재산 요건을 맞춰 최대 285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니, 신청 요건과 기간을 꼼꼼히 확인해 꼭 챙기세요!
문의처:
- 국세청 장려금 상담센터: 1566-3636
- 국세상담센터: 126
최신 정책 및 자주 묻는 질문은 국세청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.
#근로장려금 #홑벌이가구 #2025근로장려금 #소득지원 #국세청 #장려금신청